특유의 입담과 따뜻한 인품으로 ‘개그계 대부’라 불리던 원로 코미디언 전유성이 25일 별세했다. 향년 76세.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에 따르면 전유성은 이날 오후 9시 5분께 폐기흉 증세가 악화하여 세상을 떠났다. 그는 과거 폐렴을 앓았고 코로나19 후유증으로도 힘든 시간을 보냈다. 최근에는 폐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까지 받았으나 건강이 회복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했다. SNS를 통해 야윈 모습이 전해지며 우려를 모았고, 지난달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도 불참해 건강 이상설이 제기된 바 있다.
한국 코미디의 선구자
1949년 서울 출신인 고인은 서라벌고등학교와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연출과를 졸업했다. 방송계에는 코미디언 곽규석의 원고를 써주며 입문했으며, 1969년 TBC ‘쑈쑈쑈’의 방송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코미디언으로 전향해 ‘유머 1번지’, ‘쇼 비디오자키’ 등에서 재치 있는 입담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1990년대에는 SBS ‘좋은 친구들’의 인기 코너 ‘전유성을 웃겨라’를 통해 신인 개그맨들의 등용문을 열었으며, KBS ‘개그콘서트’의 창립 멤버로도 활약하며 방송 코미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무대 밖에서도 그의 아이디어는 빛났다. 성악과 개그를 접목한 ‘아이들이 떠들어도 화내지 않는 음악회’, 반려동물 공연 ‘개나소나 콘서트’ 등 독창적인 공연을 기획하며 웃음의 경계를 확장했다.
코미디 문화 확산과 후배 발굴
전유성은 코미디라는 장르를 지역과 세계로 확산하는 데 노력했다. 2011년 경북 청도에 국내 최초 코미디 전용 공연장 ‘철가방극장’을 열어 4천 회가 넘는 공연을 올렸으며, 아시아 최초 코미디 축제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서는 명예위원장을 맡아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코미디의 위상을 높였다.
그는 후배 개그맨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데도 열정적이었다. 최양락, 이윤석, 김신영, 황현희, 김민경 등 수많은 코미디언들은 그의 격려와 도움 덕분에 활동할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개그맨이라는 용어 역시 그가 처음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 초, ‘희극인’이나 ‘코미디언’이라는 표현이 낡았다고 느낀 그는 ‘개그’와 ‘맨’을 결합해 새로운 호칭을 대중화시켰다.
저술과 개인사
방송과 공연 활동 외에도 그는 집필 활동을 이어가며 가장 많은 책을 낸 코미디언으로 꼽혔다. 저서로는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전유성의 구라 삼국지’, ‘하지 말라는 것은 다 재미있다’ 등 총 17권이 있다.
1993년 가수 진미령과 결혼했으나 이후 이혼했고, 유족으로는 딸 제비 씨가 있다.
장례
전유성의 장례는 희극인장으로 치러지며, 그가 활발히 활동했던 KBS 일대에서 노제가 진행될 예정이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됐다.
‘웃음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라 말했던 고인의 철학은 수많은 후배와 대중의 가슴에 깊이 남아 있다.